나는 파인애플 피자보다 다른 피자를 더 선호하는구나! 파인애플 피자도 좋아하는 이하나랑은 차이가 있네!
▶ 나를 느낄 수 있다
우리는 같은 인간이지만, 사소하게는 다른 점을 가진다
차이가 의미하는 것 : 우리는 서로 독립적으로 잘 존재한다는 것 서로가 각자의 독립성을 가지는 것은 각자의 ego가 있기 때문이다!
차이점을 통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상대는 어떤 사람인지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내가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는 느낌, 내가 누구인지 잘 모르겠다는 느낌
☞ 다른 사람과의 차이점을 발견했을 때 '나는 어떤 사람이다'라는 인식을 강화하는 데 활용하기!
그럼 이 자아를 표출하는 방법(예 : 파인애플 피자를 피한다던가)은 어떻게 칭할 수 있을까?
자아 self ego 내가 나라고 인식하는 의식, 정체성
성격 personality 행동의 경향성
ego⟩personality
현재 상황
• 내가 누구인지 때때로 느낄 수 없다 정체성의 혼란
• 때때로 감정에 휘둘린다 감정이 나를 압도한다감정이 자주 바뀌어서 현재 어떤 감정인지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감정에 대한 인식이 어려워 혼란스럽다.
• 판단을 내리기 힘들다 감정을 바탕으로 한 판단이 쉽지 않다
(왜냐하면) ∵ 1 감정을 알기 힘듦
(왜냐하면) ∵ 2 신체적 정신적으로 소진된 경우
Panic Disorder 공황 장애
원인 : 긴장시키는 호르몬의 과다 분비 자율 신경의 과대응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 체성신경계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우리 몸의 자동 시스템
이 시스템이 몸의 내부 장기 기능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 심장 박동의 빠르기, 호르몬 분비, 호흡, 소화, 혈압, 체온 유지 등
자율신경계 ⟩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이 둘은 몸의 항상성 밸런스, 항상 같은 상태로 함 유지를 위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작용한다
교감신경 : 싸우거나 도망치는 긴장 반응 심박 상승 , 동공 확대, 소화 억제
부교감신경 : 휴식 릴렉스 반응 심박수 감소 , 소화, 수면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Panic Disorder
Borderline 이쪽도 저쪽도 아닌
Personality 행동의 경향성
Disorder 무질서한, 혼란
불안정한 자아 ⟩ 불안정한 감정⟩ 가중되는 혼란의 부담⟩ Panic Disorder
잔잔한 수면 위의 나뭇잎,
거친 폭포 물결 위에서 격렬하게 흔들리는 나뭇잎,
흔들리는 건물 안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에 휘말려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려워하는 캐릭터
이런 반응은 정서가 예민하거나 관계에 민감한 사람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다
특정한 감정 패턴이 비슷하게 반복된다면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개념을 활용하여
그 감정의 흐름과 혼란을 이해하고, 새로운 대응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자아 인식의 강화
"편안해졌을 때의 모습이 혜민 씨의 원래 모습이에요"
🌿 감정 인식 연습
"지금은 어떤 기분일까?"
🌿 감정을 받아들이고 이름 지어주기
"나는 이런 기분이구나! 그럼 이렇게 하는 게 좋겠다"